제주옹기
바람과 돌, 물과 흙이 다른 섬 제주도
신석기시대
제주도 신석기시대 토기형식은 문양을 중심으로 원시무문토기, 융기문토기, 압인문토기, 압날문토기, 침선문토기, 이중구연토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고산리출토 원시무문토기는 한반도 최고의 토기로 지금까지 우리나라 신석기 유적에서는 발견된 바 없다. 북촌리 유적에서는 구연부에 1열 ~ 4열의 삼각형 또는 원형 점렬무늬를 눌러찍은 점렬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가 출토되었다.
고산리식 원시무문토기
청동기시대
제주도에서 청동기시대는 토기 아가리에 일렬로 원형의 구멍을 뚫는 공렬토기로 대표되는 무문토기가 성행한다. 아울러 후기토기로 알려진 점토대토기가 일부지역에서 확인되고 있다. 공렬토기문화가 가장 성행한 유적으로는 대정읍 상모리유적이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제주시 용담동 무덤유적, 곽지패총, 동명리유적 등이 있다. 상모리유적의 공렬토기는 유입, 제작성행, 퇴화단계의 토기군이 확인되어 이 지역에서 장기간 거주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입단계의 토기는 태토성분이 제주산이 아닌 육지부의 태토구성을 보이고 있으며, 아가리에 골아가리, 공렬, 이중구연, 단사선 무늬가 함께 새겨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심발형무문토기 _ 대정읍 상모리
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식토기의 특징은 구연부가 직립하거나 외반도가 대체로 약하고 짧은 편인 심발형 및 옹형의 무문토기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옹형토기는 최대경이 동체부의 중앙과 상단에 위치하는 형식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저경과 구경의 비례가 비교적 안정감을 보이고 있다. 심발형은 저부가 비교적 좁고 구연이 넓은 형식으로 무문토기 중기 이후의 기형과 유사하다. 대체로 광주 신창동이나 해남 구곡리, 삼천포 늑도유적에서 종말기 단계에 속하는 무문토기 변화형으로 나타나며 단면 삼각형 점토대토기와 결합되는 형식들이다. 곽지리식토기는 타날무늬가 시문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줄무늬가 그어져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 삼국시대 전기에 남한지방에서 유행하는 방식이다.
삼양동식토기
통일신라시대
탐라중기 이후의 대표적인 유물로 적갈색심발형토기, 즉 고내리식토기로 불리워지고 있다. 이 토기는 높이가 25~30cm 정도이며 납작바닥과 짧게 외반된 구연부가 특징이다. 태토는 가는 모래 또는 비교적 작은 휘석 · 사장석 · 각삼석 알갱이를 섞었으며 목 · 아가리 부분만 제외하고는 초경을 이용하여 조임한 흔적이 뚜렷이 남아있다. 아가리의 외반도는 밖으로 크게 벌어지는 곽지리식토기와는 대조를 보인다. 목의 길이가 매우 짧고 조임이 있다. 두께는 전반적으로 고르고 얇은 편이며 크기에 관계없이 1~1.5cm를 넘어가는 경우가 없다. 바닥성형은 원형 점토판과 동체를 각각 따로 만들어 접합하였으며, 목 · 아가리 부분은 회전판을 사용하여 물손질하였다. 동체하부에서 몸통까지 바로 올라가면서 목부분이 조여지는 형태인데, 심발형이 기본이고 제품화된 성격이 강하다.
고내리식토기